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남성 정액 검사(정액 분석): 운동성 기준 및 결과 해석

by 미스터쩡키 2025. 3. 31.
반응형

남성의 생식 건강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검사 중 하나가 정액 검사(Semen Analysis)입니다. 이 검사는 정자의 수, 운동성, 형태 등을 분석하여 임신 가능성과 생식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1. 정액 검사란?

정액 검사는 남성의 정액 속 정자의 질을 평가하는 검사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를 분석합니다.

정자 농도(정자 수): 1mL당 정자의 개수
운동성(활동성 정자 비율): 정자가 얼마나 잘 움직이는지 평가
정자 형태(정상 정자 비율): 기형 정자의 비율 확인
정액량: 사정된 정액의 총량
pH: 정액의 산도

그중 **운동성(Motility)**은 임신 가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2. 정자의 운동성 기준 (WHO 기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정상적인 정자의 운동성을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운동성 유형정의정상 기준
전진 운동성 (PR, Progressive Motility) 정자가 직선 또는 큰 원을 그리며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경우 32% 이상
비전진 운동성 (NP, Non-Progressive Motility) 정자가 제자리에서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경우 포함되지 않음
운동성 없는 정자 (IM, Immotile Sperm) 정자가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경우 포함되지 않음
총 운동성 (Total Motility, PR+NP) 운동성이 있는 정자의 전체 비율 (전진 + 비전진) 40% 이상

즉, 정자의 전진 운동성이 32% 이상, 총 운동성이 40% 이상이면 정상 범주로 판단합니다.


3. 정액 검사 결과 해석

⭕ 정상 정액 검사 결과

  • 총 정자 수: 1mL당 1500만 마리 이상
  • 운동성: 총 운동성 40% 이상, 전진 운동성 32% 이상
  • 정자 형태: 정상 형태 정자 4% 이상

❌ 비정상 정액 검사 결과

  • 올리고정자증 (Oligospermia): 정자 수가 1500만 마리 이하
  • 아스타노정자증 (Asthenozoospermia): 운동성이 40% 미만
  • 기형정자증 (Teratozoospermia): 정상 형태의 정자가 4% 미만
  • 무정자증 (Azoospermia): 정액에 정자가 존재하지 않음

운동성이 낮으면 난자까지 도달할 확률이 낮아지므로, 자연 임신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임신을 준비 중인 부부라면 국가에서 지원하는 사업에도 참여 할 수 있는데요.

 

 

보건 복지부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 아래 링크 참여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위 보건복지부 링크를 따라 지원 사업에 참여해 보세요.

첨부 파일은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참여 의료기관 목록 입니다.

(남성 정액 검사 포함)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참여 의료기관 현황(2025.2.1.기준).pdf
0.44MB

 

5. 정자 운동성 개선 방법

정자의 건강을 개선하고 운동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식습관 유지

  • 아연, 셀레늄, 오메가-3, 항산화 비타민(C, E)이 풍부한 음식 섭취
  • 술, 카페인, 가공식품 줄이기

운동과 체중 관리

  • 적절한 유산소 운동 및 근력 운동
  • 과체중일 경우 체중 감량

고온 환경 피하기

  • 사우나, 뜨거운 욕조, 전자기기(노트북 등) 과도한 사용 피하기

금연 및 절주

  • 흡연은 정자의 DNA 손상을 유발하므로 금연 필수
  • 과도한 음주도 정자 생산과 운동성 저하의 원인

스트레스 관리

  • 스트레스는 호르몬 균형을 깨뜨려 정자의 질 저하 가능
  • 명상, 운동, 충분한 수면으로 스트레스 해소

6. 정액 검사는 언제 받아야 할까?

다음과 같은 경우 정액 검사를 고려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1년 이상 자연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
✔️ 정자의 건강이 걱정되는 경우 (흡연, 음주, 스트레스 등)
✔️ 불임 치료를 고려하는 경우

정액 검사는 간단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남성의 생식 건강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이므로, 정확한 결과를 위해 2~3회 반복 검사를 권장합니다.


7. 결론

정자의 운동성은 남성 가임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WHO 기준에 따르면 전진 운동성 32% 이상, 총 운동성 40% 이상이 정상 범위입니다. 운동성이 부족하면 임신 확률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생활 습관 개선과 필요 시 전문가 상담을 통해 개선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